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밀의료계획 추진을 위한 새로운 정책 방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7-06
  • 등록일 2016-08-01
  • 권호

○ 백악관은 정밀의료계획(PMI)*을 추진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책 방안들을 발표함


  * 정밀의료계획(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PMI): 지난 2015년 오바마 대통령의 연두교서를 통해 발표된 의료 연구 R&D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의 유전자, 생활패턴, 환경 등을 고려하는 생명의학적인 발견 및 치료법 개발을 통해 각 환자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의 개발을

    목표로 함


○ 프로그램 발표 후 지난 2016년 2월 정밀의료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연방기관,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등이 참여하는 구체적인 정책

    방안이 도출되었으며 이번 발표는 이와 같은 정책 노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임


○ 이번에 발표된 정책 방안은 크게 자발적인 연구 참가자 확보, 관련 연구 추진을 위한 자료 및 도구의 제공, 유전자 연구에 대한 정부

    규제의 현대화로 요약됨


 ① 정밀의료계획 코호트 프로그램(PMI Cohort Program)*에 참가할 100만 명 이상의 자발적 연구 참가자 확보: 국립보건원(NIH)은

     연구 참가자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지역의료센터를 선정하고 보훈부(V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연구 참가자를 모집하는데 5,500만

     달러(약 635억원)를 투입하기로 결정


  * 정밀의료계획 코호트 프로그램(PMI Cohort Program): 최소 100만 명 이상에 대한 유전자, 생체지표, 행동양식, 환경 등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지표들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여 관련 의료 데이터의 구축 및 분석 연구를 진행하는 사업


 ② 보건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기 위한 데이터 및 연구 지원 센터에 구축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참여자 기술 센터를

     통한 관련 도구 및 기술을 제공


 ③ 식품의약청(FDA)은 유전자 연구에 있어 보다 유연한 규제 방안을 적용하고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에 대한 규제 기준을 발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