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수력발전 생산량 전망 및 잠재적 효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7-26
- 등록일 2016-09-05
- 권호
○ 에너지부(DOE)는 2050년까지의 수력 발전 생산량을 전망하고, 이로 인해 예상되는 잠재적 성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Hydropower Vision: A New Chapter for America’s First Renewable Electricity Source
○ 지속적인 수력 발전 기술의 향상을 통해 수력 발전량은 현재의 101기가와트(GW)수준에서 2050년에는 150기가와트(GW)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하류의 물을 상류로 넘겨 다시 발전에 사용하는 양수식 수력 발전 기술의 개선을 통해 36기가와트(GW)의 전력이 추가로
생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수력 발전을 통한 에너지 생산의 증가는 공공 보건과 환경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됨
- 수력 발전은 화석연료에 기반한 발전량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2,090억 달러(약 232조원)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피해 절감
효과와 580억 달러(약 65조원)의 대기오염 방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됨
- 경제적 관점에서도 수력 발전 부문에는 2050년까지 1,500억 달러(약 167조원)에 달하는 투자가 이루어져 19만 5000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