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소재게놈이니셔티브 시행 5년 간의 성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8-02
  • 등록일 2016-09-05
  • 권호

○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소재게놈이니셔티브(Materials Genome Initiative, MGI)의 시행 5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5년 간 얻은

    성과들을 발표 

 

○ 2011년 6월, 오바마 정부는 새로운 소재의 발견, 개발, 적용의 속도를 두 배로 가속하는 소재게놈이니셔티브(MGI)의 개시를

    발표한 바 있으며, 이후 총 5억 달러(약 5,550억원)의 연구 및 기반시설 건설 지원금이 제공됨 

 

○ 지난 5년 간 소재게놈이니셔티브(MGI)를 통해 얻은 성과는 크게 ① 소재연구부문의 연구 문화 변화 ② 이론과 실험, 컴퓨팅의

    결합 ③ 디지털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 ④ 세계 최고 수준의 인력 양성 등으로 요약되며 구체적 성과는 다음과 같음 

 

 - 국립과학재단(NSF)은 현재까지 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80개의 학술 기관의 258개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함 

 

 - 국방부(DoD)의 미래를 위한 경량 혁신(Lightweight Innovations for Tomorrow, LIFT) 제조 혁신 연구소는 경량 제품, 시스템,

   자동차의 개발에 성공 

 

 - 에너지부(DOE)의 소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인 Materials Project는 현재까지 2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60만 개 이상의

   소재 정보를 기록 

 

 - 항공우주국(NASA)은 소재게놈이니셔티브(MGI)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경량 구조물 소재를 화성 여행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안에

   연구 지원금을 제공하는 방안을 발표 

 

 -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은 소재 성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가상 고속처리 실험 시설

   서비스를 개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