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표준인증정책에 관하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8-05
  • 등록일 2016-09-05
  • 권호

○ '16.8.5 개최된 제4회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산업기술환경분과회는 표준화를 둘러싼 최근의 상황변화 및 향후 과제 및 대응의

    방향성을 담은 「표준인증정책에 관하여」공개 

 

 - '산업구조를 사전에 설계하지 않으면 승리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으며(예:IoT)l CSR 등 '가치관'을 보급하기 위한 표준이

   글로벌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게 됨.  

 

 -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제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기술 혁신에 의해 새로운 시장이

   창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표준화를 위하여 향후 표준화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  

 

(구체적 추진 현황) 

 

① 표준화 관민전략 

 

 - 민관의 체제 정비 및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인증기준 강화, 아시아 각국과의 연계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표준화 관민전략」채택(

   ('14.5) 

 

② 지역네트워크 활용(표준화 활용지원 파트너쉽제도 등) 

 

③ 표준화 관련 인재 육성 지원(표준화 인재육성 WG 설치, 외부 연수 제공 등)  

 

④ 기업의 표준화시스템 강화(최고표준화책임자 CSO(Chief Standardization Officer)설치 등)  

 

⑤ 국립연구개발법인과의 연계(제4차 산업혁명 등 사회시스템 및 일본이 기술적 우위를 갖고 있는 로봇 등 첨단기술에 대하여 국립

    연구개발법인 등의 지식 활용) 

 

⑥ 해외인증 취득 지원(JETRO와 시험・인증기관이 연계하여 원스톱서비스 제공)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