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개인연구비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개요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6-08-18
- 등록일 2016-09-26
- 권호
○ 문부과학성 과학기술・학술심의회 제8기 연구비Working Group는 「개인연구비 등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개요 발표
-조사대상:’15년도 과학연구비 채택건수 상위 200위 이내 대학 및 대학공동이용기관 법인에 소속된 과학연구비 응모자격자 중 무작위로 추출한 연구자 약 10,139명(각 기관 약 50명)
-조사기간: '16.7.4-7.15
-유효응답: 3,646건(응답율 36%)
(주요 결과)
○ 개인연구비 규모 비교(10년 전과 현재)
- 10년 년과 비교했을 때 약 40%가 개인연구비가 줄었다고 답변(그 중 거의 50% 이상 감소가 15%), 거의 동일하다고 답한 비율은 30%
- 한편 증가했다는 답변은 10%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 중 약 80%는 직위 상승에 따른 것이라 답변
- 분야별로는 이공계의 감소 경향이 뚜렷하여 약 50%가 감소했다고 답변
○ 연구공간의 형태
- 95%의 연구원이 연구공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개인 공간' '그룹 공유'는 거의 같은 비율로 나타남.
○ 향후 경쟁적 연구비 개혁의 방향성
- 과학연구비 채택율 목표 30% 달성 및 확보, Bottom-up 형태의 연구비 예산 증액, 과학연구비의 보조금 연구종목의 기금화 등 제시
-조사대상:’15년도 과학연구비 채택건수 상위 200위 이내 대학 및 대학공동이용기관 법인에 소속된 과학연구비 응모자격자 중 무작위로 추출한 연구자 약 10,139명(각 기관 약 50명)
-조사기간: '16.7.4-7.15
-유효응답: 3,646건(응답율 36%)
(주요 결과)
○ 개인연구비 규모 비교(10년 전과 현재)
- 10년 년과 비교했을 때 약 40%가 개인연구비가 줄었다고 답변(그 중 거의 50% 이상 감소가 15%), 거의 동일하다고 답한 비율은 30%
- 한편 증가했다는 답변은 10%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 중 약 80%는 직위 상승에 따른 것이라 답변
- 분야별로는 이공계의 감소 경향이 뚜렷하여 약 50%가 감소했다고 답변
○ 연구공간의 형태
- 95%의 연구원이 연구공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개인 공간' '그룹 공유'는 거의 같은 비율로 나타남.
○ 향후 경쟁적 연구비 개혁의 방향성
- 과학연구비 채택율 목표 30% 달성 및 확보, Bottom-up 형태의 연구비 예산 증액, 과학연구비의 보조금 연구종목의 기금화 등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