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대지진 후 지진활동 예측 정보 뱡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지진조사위원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8-19
- 등록일 2016-09-26
- 권호
○ 정부 지진조사연구추진본부 지진조사위원회는 '16.8.19 「대지진 후 지진활동 예측에 관한 정보의 방향성」제하 보고서 발표
(주요 내용)
- 종래의 여진확율 평가방법에 입각한 여진예측 발표이력 및 과제
- 지금까지는 지진발생 직후 전국적으로 일률적 경험에 의한 전망을 발표하였으나, 앞으로는 과거의 사례 및 지역의 특성에 입각한
정보 발신
- 발생직후~1주일간 정보 발신
① 최초의 대지진과 같은 정도의 지진에 주의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함.
② 특히 2~3일 정도는 대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할 것
③ 과거 사례와 비교한 지진횟수 산정그래프를 제시하고, 지진횟수의 다과(多寡)에 관한 정보 부가
- 활성단층을 고려한 경보(지진발생 직후)
① 주변에 활성단층이 있을 경우 지진조사위원회의 장기 평가결과에 입각하여 존재를 제시
② 지진평가(활성단층 위험평가)를 4단계로 변경(「S」:30년 이내 지진발생확율이 3%이상, 「A」는 0.1~3%미만, 「Z」는 0.1%
미만, 「X」는 명확하지 않으나 가까운 시일 내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