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대중창업공간의 지나친 단일화로 재편 가속화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6-08-31
- 등록일 2016-10-10
- 권호
○ 과학기술부가 8월 초 최초의 17개 국가 전문화 대중창업공간 시범명단을 발표 한 후, 새로운 신청등록 사업도 신속히 추진 (8.31)
- 간판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혁신주체들이 가입하면서 대중창업공간은 ‘국가팀’으로 구축 중
- 하지만 중국 내 대중창업공간의 수익모델은 지나치게 단일적이어서 재편 가속화에 돌입
- 업계 전문가는 전문화와 서비스형 플랫폼이 대중창업공간의 미래 출로라고 지적
○ 과학기술부문의 최신 통계결과
- 중국의 대중창업공간은 2,300개 이상, 과학기술기업인큐베이터와 가속기는 2,500개
- 2015년 상반기 규모화 대중창업공간은 70개 미만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지는 창업자가 주목하는 곳
- 베이징의 대중창업공간은 중관촌, 왕징(望京), CBD 등 3대 이슈지역에 집중
- 중관촌의 대중창업공간 평균 입주율은 60%, 왕징지역은 50%
○ iResearch의 통계결과
- 대중창업공간, 인큐베이터의 주류 서비스는 장소 제공으로, 비중은 81.2%
- 28.4%의 인큐베이터는 정부주도형이며, 자금 출처는 정부
- 수익의 경우, 임대료는 주요 수입원천, 다음은 사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받는 비용 그리고 미래 잠재적인 부동산관리 부가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