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온라인 학습 디지털 준비도 격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6-09-20
- 등록일 2016-10-24
- 권호
○ PEW 연구센터는 미국 국민의 온라인 학습 준비도 분석 보고서 발표
- 본 보고서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하는데 있어 사람들의 준비도나 익숙함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
- 과거에는 디지털 기술 보급률의 격차가 관건이었다면, 이제는 보급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디지털 준비도 격차가 중요
- 본 보고서는 미국 성인의 ①컴퓨터 사용에 대한 자신감 ②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③디지털 도구의 학습 활용도 ④온라인
정보 신뢰성 판단 능력 ⑤현재 교육 기술 용어의 익숙함 정도를 평가
○ 분석 결과 미국 국민들은 디지털 기술의 준비도 측면에서 크게 5개 유형으로 분류되어 국민들 간의 격차가 발견됨
① 준비도 낮음(14%):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역량이 부족하고 온라인 정보에 대한 신뢰가 낮은 사람들
② 전통적 학습자(5%): 배움에 대한 열의는 높으나 학습에 있어 온라인 도구를 활용하지 않거나 온라인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유형
③ 활용 기피자 (33%): 가장 많은 사람들이 속한 유형으로, 어느 정도 디지털 기술을 가지고 있으나 학습에의 인터넷 사용 경험
부족으로 인해 교육 기술적 개념에 대한 이해도나 개인적 학습 활동 성과가 낮은 유형
④ 소극적 사용자(31%):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대한 자신감 및 인터넷에 대한 신뢰는 있으나 온라인 학습에 있어서는
소극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유형
⑤ 디지털 준비 완료자(17%):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활용하는 적절한 기술과 자신감, 신뢰도를 모두 갖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