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 지적재산권 집약산업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6-09-26
  • 등록일 2016-10-24
  • 권호

○ 상무부(DOC)는 미국내 지적재산권 집약산업의 2014년 현황 분석 보고서 발행

 

 - 본 보고서는 상무부 산하 특허청(USPTO)과 경제통계청(ESA)의 협력을 통해 작성되었으며 2012년에 발표된 보고서의 내용을 갱신 

 

○ 본 보고서는 총 313개 산업 중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의 보호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81개 산업을 지적재산귄 집약산업으로

    정의

 

 - 대표적인 지적재산권 집약산업으로는 소프트웨어 퍼블리셔, 음반제작산업, 영상음향기기제조업 등이 있음 

 

○ 본 조사에 따르면 지적재산권 집약산업은 미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담당

 

 - 집약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38.2%인 6조 6,000억 달러(약 7,300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였으며 미국 총 근로자 수의 30%인

   최소 4,500만 명의 근로자가 직간접적으로 관련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지난 2010년에 비해 지적재산권 집약산업의 고용과 부가가치액이 함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지적재산권 집약산업이 직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는 근로자는 2010년의 2,710만명에서 2014년 2,790만명으로 80만명 증가하였으나,

   이외 산업에 비해서는 느리게 성장하여 전체 고용자 중 비중은 18.8%에서 18.2%로 감소함

 

 - 부가가치액의 경우 2010년의 5조 600억 달러(약 5,570조원)에서 2014년 6조 6,000억 달러(약 7,300조원)로 30% 증가하였고, GDP

   비중도 34.8%에서 38.2%로 증가하였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