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순환형 사회 실현위한 혁신적 접합∙분리기술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10-15
- 등록일 2016-11-07
- 권호
○ 산업경쟁력간담회가 「순환형 사회를 실현하는 혁신적 접합∙분리기술」 관련 연구보고
- 접합강도를 강화하여 영구성을 중시한 기존의 접합기술과 달리 최근 접합기술은 재활용, 재사용 비용을 낮추기 위해 접합부가
잘 분리되는 부분에 초점
- 이러한 접합·분리를 함께 생각하는「혁신적 접합·분리기술」이 건축, 헬스케어, 자동차, 전자부품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어떠한
혁신을 가져다줄 것인지 기대
- 재료 및 분야별 접합∙분리기술의 부감도 작성
※ 자동차의 경우 철-알루미늄 및 금속-수지와 같은 이종재료 접합을 위한 구조접착제 사용, 헬스케어 분야의 생체접합에서는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접착제 사용, 건축 분야에서도 용접에 비해 작업이 용이한 접착에 대한 기대가 큼
- 이종 재료가 접합된 제품 및 구조물은 재활용시 재료마다 분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주로 접착제가 사용된 이종재료 접합에 분리성을
부여하는 수요가 잠재적으로 있을 것이라 예측됨.
- 또한, 생체간, 생체와 이종 재료간 접합에 대해서는 접착이 중요하나, 인체에 인공 뼈 및 인공 치아, 센서 등을 접합하는 수요는
향후 증대할 것으로 보이므로 주목 필요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 헬스케어의 적용 및 이종재료 접합의 관점에서 접착기술에 주목 필요
- 점착제 또한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재료의 개발에 따라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