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연료전지 기술 투자 및 국내 산업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1-17
  • 등록일 2016-12-19
  • 권호

○ 에너지부(DOE)는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에 3,000만 달러(약 353억원)를 투자하고 산업 발전 현황을 분석하는 등 관련 기술 R&D

    지원 방안 발표

 

 - 에너지부(DOE)는 저비용 수소 생산, 내장 수소 저장고,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의 개발에 3,000만 달러 규모 R&D 투자

   방안 발표

 

  *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 본 투자안은 지난해 시작된 국립연구소들의 네트워크인 에너지소재네트워크(EMN**) 컨소시엄을 활용하여 진행 예정

 

  ** Energy Materials Network

 

 - 이번에 선정되는 연구 R&D는 연료전지 자동차의 상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요구되는 ① 백금 촉매 대체 촉매 및 전극 ② 첨단 물분해

   소재 ③ 수소 저장고 소재 ③ 저비용 고강도 탄소섬유 등을 개발하는 연구 수행 예정 

 

○ 에너지부(DOE) 산하 연료전지기술국(FCTO)에서는 2016년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의 국내 발전 현황 분석 보고서 발표

 

 - 본 보고서는 수소 및 연료전지 생산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캘리포니아, 코네티컷, 뉴욕 주를 선정

 

 - 캘리포니아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해 첨단 에너지 산업 부문이 6배나 빠르게 성장하고 전체 노동인구의 3%인 50만 명이 관련 산업에

   종사 

 

○ 수소전지 시장은 2010년 이후 연간 성장률 30%를 보이며 2014년 연간 매출액이 20억 달러(약 2조 4,000억원)에 이르는 등 빠르게

    발전

 

 - 이미 기존의 엔진에 비해 95% 정도 석유 소비량을 줄인 경량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어 향후 미국 경제와 환경에 보다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