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명의학 분야의 인적 자원 변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7-01-03
  • 등록일 2017-02-01
  • 권호

○ 과학 전문지 네이처(Nature)는 생명의학(biomedical) 분야에서 나타나는 인적 자원의 구성 변화를 분석

 

 - 센서스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명의학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

 

 - 1998년 137억 달러(약 16조 4,000억원)에서 2004년 281억 달러(약 33조 7,000억원)로 크게 증가한 국립보건원(NIH)의 예산은 같은

   기간 생명의학계에서 연구하는 인력 수를 크게 증가시킴

 

 - 1990년 이후 학계나 공공기관에 비해 민간기업에 종사하는 연구자가 빠르게 증가해 현재 민간기업 종사자는 연구인력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계에 비해 약 30,000달러(약 3,600만원) 정도 높은 임금을 제공

 

 - 생명의학 분야에서는 과거에 비해 훨씬 많은 아시아계, 흑인 등 소수민족을 찾을 수 있으며 해외출신 연구자의 비중도 크게 증가 

 

○ 본 결과는 어린 과학자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과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음

 

 - 빠르게 증가한 연구자 수에 비해 학계에서 제공하는 교수직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게 증가해 이들 연구자이 좋은 일자리를 잡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