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스마트 홈 제품 전망 및 성공 요건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McKinsey Global Institute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1-09
- 등록일 2017-02-20
- 권호
○ McKinsey Global Institute는 스마트홈 제품의 미래를 전망한 보고서 발표
- 최근 Google의 지주회사인 Alphabet의 스마트 온도계 Nest, Amazon의 Alexa 등 다양한 스마트홈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스마트홈 시장이 형성되지는 않았음
- 맥킨지의 연구에 따르면 컴퓨터 연산기술, 빅데이터 분석기술,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스마트홈
관련 제품과 서비스가 조만간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됨
- 이에 따라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지능형 소프트웨어와 기기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스마트홈(smart homes) 기술이나 집안일을
처리하고 인간과 감정적 교감을 하는 홈봇(homebots) 기술을 향유하게 될 것임
○ 스마트홈과 홈봇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품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며, 이러한 신뢰는 단순한
자동화 이상의 감성적 수요를 채움으로써 구축할 수 있음
- 맥킨지의 연구 결과는 단순히 봇이 임무를 완수하는 것을 넘어 개인적이고 감정적인 요소를 제공할 경우 보다 큰 만족도를
보인다는 사실을 나타냄
○ 스마트홈 제품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 중요한 3대 요소는 다음과 같음
① 제품의 설계: 보다 복잡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역량은 물론 소비자와의 교감하고 신뢰를
얻기 위해 인공감성(Artificial Emotion, AE)을 갖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
② 봇에 대한 제품과 서비스의 마케팅: 소비자가 구매에 대해 보다 많은 권한을 봇에 제공함 따라 봇은 점차 소비자처럼 행동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판매자는 봇의 구매 결정 알고리듬을 이해하고 설득할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여야 함
③ 진화하는 사업 모델: 스마트홈 시스템에서 봇을 통해 축적되는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의 수요와 행동을 이해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