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재생가능에너지 동향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국제환경경제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2-16
- 등록일 2017-03-20
- 권호
○ 국제환경경제연구소는 전력 부분을 중심으로 재생가능에너지 도입 동향을 분석하고 전망 및 IEA의 WEO* 2016 시나리오와의
정합성을 검토하여 「재생가능에너지 동향분석」 보고서 공개
* World Energy Outlook
- '14년 1차 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재생가능에너지(RE, 수력 제외)의 비중은 11.4%이나, 그 대부분은 주로 개도국에서 이용되고
있는 목재 등 기존의 바이오연료이며, 첨단 RE의 점유율은 2.2%에 불과
- 발전 부문에서 첨단 RE의 점유율(수력 제외)은 6.3%로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태양광이 50%(연간), 풍력 20%(연간)으로 다른
첨단 RE에 비해 높은 수준
- 현재 동향을 통해 미래 예측시 상한은 WEO2016 450시나리오(2℃시나리오)와 거의 일치하나, 향후 정책 지원 등을 통해 비용
절감 등 필요
- 운송부문에서의 바이오연료 소비는 '00년-'10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후 미국 및 브라질의 정체로 감소하여 현재
도로교통 소비 에너지의 약 4%를 차지
- 최근 동향을 바탕으로 한 미래예측에 따르면 2℃시나리오가 요구하는 수준의 약 1/2로 낮출 필요가 있음
- 또한 저탄소화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셀룰로스계 등 첨단바이오 연료 생산은 아직 대규모 상업적 생산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조속한 상업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