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나노테크놀로지·재료분야 연구개발력 강화 위한 정책간 연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3-02
  • 등록일 2017-04-03
  • 권호

○ 연구개발전략센터(CRDS)에서 「워크숍 나노테크놀로지·재료분야 전체회의('16.8.22)」 결과를 정리하여 『연구개발력 강화를 \

    위한 정책간 연계』 보고서 발간


- 워크숍은 나노테크놀로지·재료 분야의 기반기술 연구개발력을 향상시키고 실용화·산업화로 연결되는 혁신 창출 환경 구축에 필요한

   연구개발거점·정책간 연계 및 부서간 협력 논의를 목적으로 개최


- (주요 정책) ① 나노테크놀로지 플랫폼 ② 도호쿠대 원자분자재료과학고등연구기구AIMR)③ 정보통합형 물질·재료이니셔티브

   MI2I)허브거점 ④ TIA* 4개 연구개발거점의 이상적인 모습, 현황, 과제 소개


  *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물질·재료연구기구, 쓰쿠바대학, 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 도쿄대가 협력·운영하는 오픈이노베이션 거점


- (향후 정책간 연계에 대한 산업계로부터의 요청) ① 기술혁신에 따른 첨단재료의 지속적 창출 ② 산학협력 과제 소개


(제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과학기술혁신전략 2016에서 나노테크놀로지·재료분야의 위치)


 - 나노테크놀로지·재료분야의 전략 수립을 위한 과제인식 등 제시


 - (종합토론) 문부과학성 및 경제산업성의 협력 현황 및 장기적 거점, 정책에 관한 과제, 형식적이 아닌 실질적 부처 연계시스템


 - ① 첨단연구개발인프라의 미래전략, 성장하는 연구개발시설·거점의 방향성 ② 조직간, 사업간, 기관간, 현장의 연계에 관해 논의

    하고 방향성 제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