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로봇기술과 자동화가 고용 상실과 임금 하락에 미치는 영향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3-28
  • 등록일 2017-05-02
  • 권호

○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는 로봇기술과 자동화의 진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기사 보도


 - 미국에서는 최근 수십년 동안 자동차, 전자,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제조업에서 로봇과 자동화 기술이 도입


○ 본 기사는 MIT의 대런 에쓰모글루(Daron Acemoglu) 교수와 보스턴대학의 파스쿠알 레스트레포(Pascual Restrepo) 교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로봇기술과 자동화가 지역 사회 근로자들의 일자리와 임금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지적


 - 연구에 따르면 1990년에서 2007년 사이 미국 내에서 로봇기술과 자동화로 인해 사라진 제조업 일자리는 총 67만개에 달하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 로봇 도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더욱 강해질 것으로 전망


 - 근로자 1,000명 당 로봇 1기 도입은 지역 사회 내 평균 6.2개의 일자리와 0.7%의 임금 하락을 야기하는 것으로 평가


 - 국가 전체로 살펴볼 경우 로봇기술과 자동화가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다소 줄어들지만, 여전히 피해를 받는 근로자가 나타남


 - 예상보다 로봇과 자동화를 통한 공학 및 금융업 등에서의 고용 창출 효과는 적었으며, 제조업에서의 일자리 상실을 상쇄할 정도로

   큰 고용 창출이 일어나지 않았음


○ 본 연구 결과는 제조업 일자리의 상실을 막기 위해서는 무역 수지 개선이나 해외로의 생산기지 이전을 막는 것보다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시급함을 나타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