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기초 연구에 대한 투자 사례 및 주요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4-25
- 등록일 2017-05-29
- 권호
○ 비영리법인 과학연합(Science Coalition)은 정부 투자가 혁신과 고용 창출에 미치는 사례를 분석한 보고서 발표
- 기초 연구의 발전을 위해 연방 투자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연방 예산의 1% 미만인 335억 달러(약 38조원)만이 기초 연구에 제공
- 기초 연구는 고용 창출과 창업, 지역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러한 혜택을 직접 회수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정부의 투자가 요구됨
○ 본 보고서는 과학 기술 관련 연방기관들의 지원을 받은 102개 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R&D 투자에 대한 성과를 분석
- 국립보건원(NIH), 국립과학재단(NSF), 에너지부(DOE) 등을 통해 102개 기업에 제공된 총 R&D 투자액은 2억 6,500만 달러(약 3,000
억 원)로, 40%의 기업은 100만 달러(약 11억 원)보다도 적은 투자를 받음
- 연구 지원을 받은 기업의 경우 창업 후 5년 후에도 기업 활동을 지속할 확률이 87%로, 절반 이하만이 생존하는 다른 일반적인
경우에 비교해 높은 성공률과 생존율 기록
- 이들 기업은 총 8,900명에 이르는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어, 1인 기업이 다수인 다른 경우에 비해 높은 고용 창출 효과를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