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오마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의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6-29
  • 등록일 2017-07-24
  • 권호

○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는 오바마 정부의 청정에너지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보고서* 발표


  * America’s Clean Energy Success by the Numbers


○ 본 보고서는 에너지정보국(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2016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오마바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이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고 평가


 - 발전 에너지원 비중 변화: 2008년 48%에 이르던 석탄의 비중이 2016년 30%로 감소


 - 청정에너지에 대한 미국 정부의 RD&D 투자 규모: 2008년 12억 4,000만 달러(약 1조 4,200억 원)의 R&D 투자가 2016년 20억 7,000만

   달러(약 2조 3,700억 원)으로 증가


 - 세제 및 금융 인센티브의 제공: 투자세금공제(Investment Tax Credit)와 생산세금공제(Production Tax Credit), 대출보증 등 각종

   프로그램의 적극 활용


 -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촉진과 조달을 위한 정부 권한의 활용


 - 최신 에너지 표준 개발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향상: Energy STAR 프로그램의 적용 및 확대


 - 청정에너지 부문 내 고용창출: 2016년 1분기 220만 개 청정에너지 관련 일자리 창출


○ 저자들은 오바마 대통령의 청정에너지 정책이 에너지 비용 감소에서 고용창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성과를 거두어왔다는 점에서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이 그동안의 모멘텀을 잃게 만들까 우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