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지구 대기권 재진입 가능한 최초 인공위성 발사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구개발정보서비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7-04
  • 등록일 2017-08-14
  • 권호

○ D-Sat은 임무를 마친 후에 대기권으로 진입하여 소멸되어, 파편으로 남아있지 않게 되는 최초의 위성


 - 우주에 남겨진 인공위성 파편 등은 앞으로 점점 심각해지는 문제


 - 지구 상에서 사용되는 기술의 상당 수가 인공위성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인공위성 잔해 등으로 인한 문제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약 6,000여개의 인공위성 중 1,300여개의 인공위성만 현재 사용 중)


 - 6월 23일에 발사된 D-Sat에는 D3 프로젝트(EU 지원)에 의해 제작된 재진입(re-entry) 장치가 탑재


 - D-Sat은 세 가지 테스트를 한 뒤, D3에 의해 제작된 스마트 추진 장치에 의해 궤도로부터 신속하고 통제된 방식으로 제거됨


○ D3 프로젝트 (위성 폐기 및 재진입 제어용 스마트 추진 장치 개발)


 - EU의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로, D ORBIT이 책임 기관


 - 인공위성의 주요 시스템이 먹통이 되어도 폐기 기능이 작동할 수 있게 디자인됨


 - 현재는 테스트 목적으로 작은 인공위성에만 적용되었지만, D ORBIT은 향후에 보다 큰 우주선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계획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