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Future Green 2050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7-18
  • 등록일 2017-08-28
  • 권호

○ 연구개발전략센터(CSRD)는 ’16.12.12 개최한 워크숍 ‘Future Green’의 결과를 정리한 보고서 공개


 - 농림업에 있어 식물자원의 기능(다양한 지속력 및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으며,

   동 지표개발 및 실제 정량화에 있어 기초가 되는 연구는 생태계 서비스 연구분야 및 질소, 인, 물 등 물질의 동태를 추적하거나 추정

   하는 자원순환연구분야


 - 그러나 이러한 분야의 연구가 지금까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식물자원의 각종 기능을 정량화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으며,

   이에 따라 기능 저하에 대해 과학적으로 충분히 파악하지 못할 가능성


 - 식물자원의 각종 기능을 유지, 회복,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연구 발전이 필요하며 현장에서 도입 가능한 과학적 방법 및

   기술의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것도 바람직함


 - 또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농학, 공학, 환경학 등 종래 학문분야를 초월한 연구체제 구축이 중요


 (목차)


 - 식용자원 생산기술 및 그린파워/ 삼림의 혜택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순환형사회 구축/ 생물환경정보공학분야에서 본 퓨쳐그린/

   100억명을 살리는 지구에 필요한 환경기술/ 농촌 초스마트 사회를 목표로 - 지역 관리기술학으로서의 농업농촌공학/ 차세대 및

   지역 공생농업시스템 발굴 및 분석, 모델구축 및 보급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