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합성생물학 관련 바이오 안보 위협 요소 파악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8-21
  • 등록일 2017-09-25
  • 권호

○ 국립학술원은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과 관련한 바이오 안보 위협 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대비할 것을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표


 -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합성생물학은 살아있는 생체조직을 조작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기체를 만드는 기술로, 많은

   혜택에도 불구하고 악용될 여지가 있음


 - 합성생물학 기술과 이 기술의 유전자 조작, 유도된 진화, 자동적 생물 디자인 등으로의 적용 방안은 최근 빠르게 발전


 - 합성생물학은 질병 치료, 농업 생산성 강화, 오염 감소 등 다양한 부문에서 획기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 반면 합성생물학이 전쟁이나 테러 등에 악용될 경우 그 부작용 또한 상당할 것으로 우려


○ 본 보고서는 합성생물학 기술이나 적용 방안에 대한 안보 위협 요소를 파악하는 데 있어 악의적인 활용 가능성과 억제 역량의

    2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시


 - 악의적인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기술의 적용 가능성, 무기로 활용성, 기술 보유자의 특성 등이 있음


 - 억제 역량은 억제 및 예방 능력, 공격 인지 가능성, 원인 추론 능력, 결과 관리 능력 등의 요소로 구성


○ 보고서는 유전자 조작, 유도된 진화, 신진 대사 공학 등 합성생물학 기술이나 그 적용 기술의 안보적 위험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체계적인 접근법을 활용해 적절한 대응 정책을 개발할 것을 촉구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