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2016년 오존층 파괴 물질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환경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9-14
- 등록일 2017-10-16
- 권호
○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지정하고 있는 약 200여 종의 오존층 파괴 물질(ODS: Ozone-depleting substances)
- 염화플루오르화탄소(CFCs: Chloroflourocarbons), 할론(halons), 사염화탄소(CTC: Carbon tetrachloride), 1,1,1-트리클로로에탄
(TCA: 1,1,1-trichloroethane), 수소염화불화탄소(HCFCs: Hydrochlorofluorocarbons), 수소브롬화불화탄소(HBFCs:
Hydrobromoflourocarbons) 등
- EU는 위의 물질들에 대해 'ODS Regulation'이라고 하는 No 1005/2009 규제에 의거하여 사용과 거래를 규제
- ODS Regulation에서는 몬트리올 의정서에는 없던 5가지 물질을 추가적으로 규제
- halon 1202, 염화메틸(MC:methyl chloride), 브롬화에틸(EB: ethyl bromide), TFIM(trifluoroiodomethane), n-propyl bromide
○ EU에서의 오존층 파괴 물질(ODS) 사용 현황
- 2016년 유럽의 ODS 소비량은 -4,161 톤. 음의 소비량은 생산 및 수입량보다 파괴 및 수출량이 더 많을 경우에 발생
- 유럽의 기업들은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거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ODS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은 이미 2010년부터 ODS
소비량을 0에 가깝게(또는 음의 값으로) 유지
- ODS의 수입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수입량 중 가장 많은 규모를 차지하는 것은 HCFCs(전체의 67%)이고 주로 공급원료 생산
과정에서 사용
- ODS Regulation에 추가된 5개의 새로운 물질 중에서는 MC의 생산량이 압도적으로 높음(99%). 이 물질들은 주로 수출이나
수입보다는 EU 내에서의 생산량이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