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청정발전계획 철폐 계획 및 절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0-25
  • 등록일 2017-11-27
  • 권호

○ 의회조사국(CRS)은 청정발전계획의 수립 배경과 철폐 관련 절차, 파급 효과를 분석한 보고서 발표


 - 환경보호국(EPA)은 청정발전계획(Clean Power Plan)을 폐지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음('17.10.10)


 - 청정발전계획은 미국 내 온실가스 배출의 30%를 차지하는 화석연료 화력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 제한이 주요 골자


 - 계획 시행이 연기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제한도 2022년에 효과를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당장의 변화는 없음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환경보호국의 철폐 계획에도 불구하고, 실제 계획을 폐지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음


 - 환경보호국은 철폐 계획에 대한 60일 간의 의견 청취 후 답변을 제공하여야 하며, 법원의 적법성 검토를 거쳐야만 철폐가능


 - 본 계획이 철폐되어도 온실가스의 배출이 공공보건과 복지를 위협한다는 환경보호국의 결론을 부정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일 다른 노력을 기울여야 함


○ 본 보고서는 환경보호국의 철폐 과정에 드는 시간과 절차로 규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데, 전력 산업은 이미 친환경적으로 변화

    하고 있음을 지적


 -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과거 석탄 중심에서 천연가스와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발전 에너지원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동안 발전

   부문에서 감소한 온실가스 감축량은 청정발전계획으로 달성하고자 하였던 것의 77%에 달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