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술이 소규모 도시에 미치는 영향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0-23
  • 등록일 2017-11-27
  • 권호

○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술이 소규모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소개하는 기사 보도


 - MIT 미디어랩의 연구에 따르면, 소규모 도시일수록 기술적 요인으로 인한 실업 문제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대도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금융 분석가처럼 분석적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반면, 소도시는 상대적으로 단순

   반복적인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높아 자동화, 인공지능 기술로 인해 대체될 경우 더 큰 충격을 받게 됨


 - 대도시에서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경우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소도시에 비해 적은 수의 근로자가

   노동 활동을 펼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약함


 -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지역, 워싱턴 DC, 뉴저지의 트렌톤(Trenton), 보스턴, 노스캐롤라이나의 더햄 등 고숙련 기술직 및

   관리자의 비중이 높은 대도시들이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영향에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조지아의 워너로빈스, 뉴욕의 이타카(Ithaca) 등 고숙련 근로자나 공군기지, 코넬대, HP 연구소 등을 보유한 도시의 경우

   소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자동화로 인한 파급 효과가 적을 것으로 분석


○ 본 기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입안가들이 기술 변화에 따른 소규모 도시의 근로자들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