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의 중요성 및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1-15
  • 등록일 2017-12-11
  • 권호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ARPA-E)의 존재 필요성과 그간의 성과를 정리한 보고서 발표


  - 미국은 에너지 부문에 있어서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에너지 기업들은 보수적이고, 혁신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 반면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ARPA-E)은 '09년 처음으로 예산을 확보해 에너지 부문 혁신을 촉진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침


 - 에너지부(DOE)의 다른 지원 프로그램들보다 더 많은 자율성과 유연성을 제공했으며, 이는 고위험 고수익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원인이 되었음


 - (성과) '17년 2월까지 580개의 프로젝트팀에 15억 달러(약 1조 6,500억 원)를 제공하여 56개 기업 창업, 18억 달러(약 2조원)에

    달하는 민간 자본 유치


 -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ARPA-E)의 지원을 받은 연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많은 민간 자본 유치에

   성공


○ 본 보고서는 에너지첨단연구계획국(ARPA-E)의 폐지를 논의하는 트럼프 행정부에 저렴하고 청정한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해당

    기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