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원자력 발전비율 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11-11
  • 등록일 2017-12-11
  • 권호

○ 전력중앙연구소는 보고서 「원자력 발전비율 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작성, 발표


 - 본 보고서는 원자력 발전 전원구성비 예측이 실현되지 않을 경우 '30년까지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을 검토


 - (분석 내용) 거시계량경제모델, 산업 관련 모델, 에너지 간 경합 모델을 사용하여 '30년 원자력 발전비율이 22%*에서 7% 정도 감축

   되어 그 부족분을 LNG화력 또는 재생에너지 전원으로 보충한 경우와 장기 에너지 수급 전망에서 상정한 에너지믹스가 달성된 경우

   (이하 '기준'이라 명명)간의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


  * '30년 원자력 발전비율이 장기 에너지 수급 전망에서 상정된 비율


 - (실질 GDP에 대한 영향) '30년 실질 GDP는 기준 대비 LNG 화력이 약 2.5조엔 감소, 재생에너지가 약 2.7조엔 감소


 - (업종별 생산액에 대한 영향) 업종별 실질생산액 감소는 '30년 '기준' 대비 LNG 화력의 경우 제조업에서 약 3.0조엔, 3차산업에서

   약 1.7조엔, 재생에너지의 경우 제조업이 약3.3조엔, 3차산업에서 약 1.9조엔이며, 모두 제조업에서 영향이 크게 나타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