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STEM 부문 대학 교육 모니터링 지표 개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7-12-12
- 등록일 2018-01-15
- 권호
○ 국립학술원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부문의 대학(학부) 교육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를 제시하는 보고서 발표
- STEM 분야의 취약한 학생 지원으로 인해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이
나오고 있지만 정책입안가와 국민들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교육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없음
○ 국립학술원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기존 척도(졸업 후 임금, 졸업률)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척도를 제시
- 보고서는 STEM 교육의 목표를 ① 학생들의 STEM 관련 이론 및 역량 습득, ② 평등, 다양성, 포용성 추구, ③ 충분한 수의 STEM
전문가 확보로 설정하고, 각 목표에 따라 총 21개의 지표를 마련
- (학생들의 STEM 관련 이론 및 역량 습득) 교실 내 증거 기반의 교육법 활용, 교실 외 증거 기반의 교육법 활용, 강사의 참여, 증거
기반의 과목을 위한 지원 및 인센티브, 효과적 교수법의 적절한 활용 등
- (평등, 다양성, 포용성 추구) STEM 준비도 강화를 위한 기관 구조 및 정책, STEM 프로그램 참여 및 유지, 평등한 학생의 참여,
STEM 학위의 다양성, 편입생들의 다양성, 학위 취득 기간, 강사의 다양성, 대학원 학생 강사의 다양성 등
- (충분한 수의 STEM 전문가 확보) STEM 학위 프로그램 유지율, 편입률, STEM 자격증 취득자 변화
○ 본 보고서는 학부 STEM 교육의 질과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강사의 교수 접근법, 편입 패턴 등
새로운 국가적 데이터의 수집이 필요하다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