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기후변화가 해충에 미치는 영향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1-03
  • 등록일 2018-01-29
  • 권호

○ 기후의 온난화로 인한 모기와 진드기의 서식지 확대


 - 기후의 온난화로 인해 모기가 더 따뜻해진 지역으로 이동하여 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따뜻한 겨울이 증가

   함에 따라 모기와 진드기의 생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지역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짐


○ 모기 방제 전략은 다음과 같음


 - 살충제의 사용, 트랩(trap)의 사용을 통한 바이오 매스의 감소, 토지의 개간을 통한 모기 서식지 확대 방지, 모기알과 유충의

   서식지인 수계(water space)의 관리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화학 물질 기반의 살충제 사용으로 최근 지카바이러스의 경우에서도 널리 사용됨


 - iRNA* 기술을 활용한 바이오 살충제는 특정 표적만을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유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살충제를 위한 대량 생산은 불가능함


  * iRNA : interference RNA(RNA 간섭) 기술은 세포 내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RNA를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발현 등을 억제하는

    현상 이용


 - 현재까지 모기 방제를 위해 가장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은 트랩(trap)으로 온혈동물의 냄새를 모방하여 여성 모기를 유인


 - 하지만 모기를 전체 먹이사슬에서 완전히 박멸하는 것이 현명한 것만은 아님. 북극 지역에 서식하는 일부 조류종 및 거미, 개구리

   등이 모기를 먹이로 하고 있으며, 많은 식물들은 모기를 꽃가루의 매개자(pollinator)로 활용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