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바이오연료의 도입에 관한 고도화법 관련 검토상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1-11
  • 등록일 2018-02-12
  • 권호

○ 경제산업성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자원・연료분과회(23회)는 바이오 연료 관련 국내외 동향 및 바이오연료정책 관련 현황 및 과제

    등에 대해 기술한 「바이오연료 도입에 관한 고도화법 관련 검토상황」를 공개


(일본의 바이오에탄올 도입현황)


 - 고도화법(高度化法) 판단기준에 명시된 도입 목표는 착실히 달성하고 있으나, 바이오에탄올 자급률은 해외 각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거의 전량을 브라질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바이오에탄올 도입에 의한 추가비용은 연간 약 600억 엔으로 추산)


(바이오연료정책 관련 현황 및 과제)


 - (안정적 공급) 현재 전량을 브라질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안정적 공급을 위해 공급처를 다원화하면서 일본에서

   바이오에탄올 자급률을 해외 각국 수준으로 높여갈 필요가 있음


 - (경제효율성) 과세표준 특례에 따른 휘발유세 면세조치 등 실시 필요(전량 수입체제로는 경제효율성 확보 불가능)


 - (일본산 차세대 바이오에탄올 연구개발 현황)NEDO 연구개발을 통해 식품의 먹을 수 없는 부분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일본산

   차세대 바이오에너지 제조시스템 실증 중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