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디지털 사회 지수 2018 보고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덴츠 이지스 네트워크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2-07
  • 등록일 2018-03-05
  • 권호

○ 세계적인 광고 및 커뮤니케이션 기업 덴츠 이지스 네트워크(Dentsu Aegis Network)는 디지털 사회 지수(Digital Society Index)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


 - 덴츠 이지스 네트워크는 2만 여 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2차 연구를 바탕으로 10개국이 사회의 모든 일원에 혜택을 주는 디지털

   경제를 얼마나 잘 구축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를 지수화한 디지털 사회 지수(Digital Society Index)를 개발


 -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10개 국가는 독일, 러시아, 미국,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일본, 중국, 프랑스, 호주임


○ 보고서는 디지털 경제를 역동성, 포용성, 신뢰의 3가지 주요 요소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고 있는 국가로 '영국'을 선정


 - 전체 지수에서는 영국의 뒤를 미국, 중국, 독일, 프랑스 등이 뒤따르고 있으며, 최하위는 러시아로 나타남


 - 역동성, 포용성, 신뢰 부문의 1위는 각각 미국, 영국, 중국으로 나타나, 세계 각국이 서로 다른 디지털 부문의 강점과 약점을 보유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반면, 설문 응답자 중 45%만이 디지털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평등에 대한 우려(43%)와 변화의 속도에

   대한 걱정(57%)이 큰 것으로 나타남


○ 보고서는 국민들의 디지털 경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정부과 기업에 ① 디지털 역량을 개발하고, ② 개인 데이터의 사용에 대한 투

    명성을 높이며, ③ 근로자들이 디지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쓸 것을 권고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