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EU 차원의 공동 보건기술평가 도입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8-02-01
  • 등록일 2018-03-05
  • 권호

○ 새로운 공동 보건기술평가(HTA: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제안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현재 각 국가별로 산재되어 있어 중복적이고 혁신 시장 접근을 지체시키는 HTA 접근방식을 전면 개편

   한다는 내용의 법안 초안을 발표


 - 현재까지는 제약회사 및 의료기기 기업들이 제품에 대한 인증을 위해 서로 다른 국가의 여러 기관에 각각 따로 증거를 제출해야

   해서 보건의료 기술의 혁신 도입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음


 - 시행 첫 해에는 10~15건의 평가를 예상하고 있으며 3년의 시범 운영 기간 동안 65건 가량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공동 보건기술평가로 인한 이점은 다음과 같음


 - 헬스케어 기업들은 보다 명확해진 규정과 예측 가능성으로 인해 큰 이익을 거둘 것


 - 특히 자체적으로 보건기술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운 동유럽 국가 및 소규모 국가들은 이러한 공동 HTA의 적용으로 인해 큰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


 - 각 국 정부는 유럽의회와 유럽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후 3년 내에 해당 법안을 국내법에 적용할 수 있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