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 기술의 악용 가능성과 대응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전자프런티어재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2-20
  • 등록일 2018-03-19
  • 권호

○ 미국과 영국의 연구자와 정책입안가들은 인공지능 기술의 악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막을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


 -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은 빠르게 발전해, 번역에서 의학 영향 분석에 이르기까지 많은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를

   악용할 경우 전례가 없는 피해를 끼칠 수도 있음


 -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기존의 위협을 확대하고, 새로운 위협을 가져오며, 위협의 일반적인 특성을 변화시킬 전망


○ 인공지능 기술이 악용될 경우 크게 (1) 디지털 안보, (2) 물리적 안보, (3) 정치적 안보를 위협할 것으로 분석됨


 - 디지털 안보: 인공지능 기술이 피싱이나 해킹 등 사이버 범죄에 활용되어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에 피해를 줄 수 있음


 - 물리적 안보: 드론이나 자동화 무기 시스템은 물론 사이버-물리 시스템에 대한 해킹 등이 물리적인 피해를 끼침


 - 정치적 안보: 감시과 설득, 속임수 등을 통해 권위주의적 정부는 물론, 민주주의 사회의 건강 또한 저해시킬 수 있음


○ 인공지능 기술의 악용 가능성에 대비해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


 ① 정책 입안가들은 인공지능 기술의 악용 가능성을 파악, 예방, 감소시키는 데 기술 연구자들과 긴밀히 협조할 것


 ②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자와 공학자들은 기술의 악용 가능성을 연구의 주요 과제로 인식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


 ③ 컴퓨터 보안 등 보다 성숙한 유사 분야에서의 우수 사례를 인공지능에 적용할 것


 ④ 이러한 과제에 대한 논의의 폭을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