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부의 암호 해독 기술 관련 논의 및 정책 프레임워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2-15
  • 등록일 2018-03-19
  • 권호

○ 국립학술원은 암호화 기술 관련 논의에 있어 정책입안가들이 가져야 할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보고서를 발표


 - 과거 테러리스트의 아이폰 암호를 해독하려는 연방수사국(FBI)의 사례에서와 같이, 정부의 암호 해독 기술 보유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


 - 사법기관들은 암호화된 정보로 접근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고, 빠르고, 확대 가능한 방법이 개발되어야 공공 안전과 국가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일부에서는 정부의 암호 해독 기술이 프라이버시와 정보 보안을 위협에 빠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 본 보고서는 정부의 암호 해독 역량과 암호화된 정보 및 서비스의 안전성 간의 상충 관계를 해결하는 논의에 있어 정책입안가들이

    가져야할 8가지 프레임워크를 다음과 같이 제시


 ① 제시된 접근법이 사법 및 정보기관들이 자료를 해독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일 것인가?


 ② 제시된 접근법이 해당 유형의 데이터와 기기의 보안과 광범위한 사이버 보안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가?


 ③ 제시된 접근법이 해당 개인과 그룹의 프라이버시와 시민의 자유권, 인권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가?


 ④ 제시된 접근법이 상거래와 경제적 경쟁력, 혁신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가?


 ⑤ 제시된 접근법이 얼마나 많은 금융 비용을 초래하며, 이를 누가 부담할 것인가?


 ⑥ 제시된 접근법이 현재의 법과 정부 과제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⑦ 국제적 환경이 제시된 접근법에, 그리고 제시된 접근법이 국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되는가?


 ⑧ 제시된 접근법이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평가와 감시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