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디지털 시대, 신뢰의 책임 소재 원문보기 1
- 국가 스위스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8-02-07
- 등록일 2018-03-19
- 권호
○ 디지털 시대에서의 신뢰
- 35%의 응답자만이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분석이 믿을만하다고 응답. 특히 약 25%는 신뢰하기가 어렵거나
적극적으로 불신한다고 응답
- '신뢰'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있어 불확실성을 줄이고, 안 좋은 일로부터 회복을 용이하게 함. 그 외에도 명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소비자 만족 및 충성, 직원들에 대한 격려 등의 역할 가능
- 기존 브랜드, 조직 및 직원 신뢰 외에 기계(기계학습에서의 기계를 의미), 알고리즘, 분석방법 등에서도 신뢰가 중요해짐
- 고위 임원의 92%는 데이터, 분석방법, 지능 자동화 등이 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
○ 신뢰성 있는 분석의 필요성
- 분석에 있어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품질, 효율성, 통합, 회복력의 4개 요인을 바탕으로 해야 함
- 신뢰의 수준은 국가, 지역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자는 시장의 위치에 따라 다른 접근법을 가져야함
- 기계(인공지능 및 로봇 등)에 대한 거버넌스는 인간에 대한 거버넌스와 본질적으로 다를 이유가 없음
- 진보된 분석모델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조직 내에서 누가 맡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한 논쟁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