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명과학 연구자금의 방향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2-27
  • 등록일 2018-04-02
  • 권호

○ 일본학술회의 「생명과학의 공적연구자금의 방향성 검토분과회」에서는 생명과학연구를 위한 공적연구자금의 현황을 분석하고,

    연구현장의 요청을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연구비를 배분하기 위한 심의를 실시해 왔으며, 이를 정리한 보고서 공개 

 

(검토 결과)

 

 - 현재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연구자가 연구 분야에 관계 없이 일률적으로 연구비 배분의 규정에 맞춰 일정 연구비로 기간 내에 종료

   할 수 있는 연구 주제를 설정

 

 -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 분야에 따라 연구비 기간 및 금액 설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연구비 도입 필요

 

 - 빅데이터를 사용한 연구 추진을 위해서는 정보학, 수학 등 소양을 지닌 인재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이러한 연구자들이 생명과학

   분야에 참여하기 쉬운 연구 분야 설정, 연구비의 탄력적 운용, 새로운 인재 육성에 대한 투자 등 필요

 

 - 지금까지 예측하지 못한 상식을 뒤집는 발견을 통해 연구 분야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연구주제 설정 및 연구계획

   설정 시 자유도가 매우 중요

 

 - 다양한 바이오리소스, 바이오뱅크, 데이터베이스 등 구축 및 유지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경우 이를 위한 연구비가

   적어, 구축이 되어도 항상 없어질 위험이 있는 등 문제가 있음

 

 - 이에 리소스의 유지 및 확대, 안정적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재정적 기반 확대가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