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재료과학과 데이터과학의 융합, 재료정보학(MI)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3-15
- 등록일 2018-04-16
- 권호
○ 미즈호종합연구소는 「재료개발의 새로운 흐름~재료과학과 데이터과학의 융합: Materials Informatics(MI)」 보고서 공개
- 본 보고서는 '11년 이후 급속히 발전하는 재료개발의 새로운 흐름인 MI 관련 일본 및 국제 동향, 재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MI의 적용 사례 및 보급을 위한 과제 등을 정리
- (해외 동향) 미국의 경우, 세계적 MI 열풍의 시초인 Materials Genome Initiative(MGI)가 '1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후
전 세계에서 MI에 관한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시작
- 유럽에서는 European Center of Excellence의 일환으로 '15년부터 Novel Materials Discovery(NOMAD)가, 스위스가 독자적으로
'14년부터 MaterialsRevolution Computational Design and Discoveryof Novel Materials(MARVEL)를 추진하였으며, 중국 및 한국
(Creative Materials Discovery Project)에서도 '15년부터 MI 관련 대형 프로젝트를 시작
- (재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MGI의 경우, 캘리포니아대학을 중심으로 Materials Project가 진행되고 있어, 7만 건에 가까운 무기
재료 데이터, 50만 건에 가까운 나노 다공질 재료 데이터 등의 정비와 함께 결정구조 작성 및 예측, Li 이온전지 재료 검색을 위한
검색 툴을 공개
- (MI 보급을 위한 과제) 민간기업에서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민간기업이 보유한 공개할 수 없는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에 MI를 적용
할 필요
- 아울러 기업에서 작성된 폐쇄된 데이터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관련 공개 데이터를 추가하여 기업 내에서 MI 방법을 도입할
수 있는 환경 및 시스템을 구축해 가는 것이 향후 MI 발전 및 이를 활용한 재료개발의 가속화에 필요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