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자기부상 기술의 등장에 따른 교통수단의 혁명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4-01
  • 등록일 2018-05-14
  • 권호

 

○ 배경

 

 - 새로운 기술에 의한 교통수단의 변화는 전통적인 방식의 스마트화(ex.자율주행), 공중부양 호버보드 등이 있음

 

 - 초전도 열차(시속 500km 이상)는 중국, 한국에서 상용운전 실시. EU에서는 독일, 이탈리아, 영국이 상용 운전을 계획 

 

○ 자기 부상(maglev) 기술

 

 - 호버보드 또는 초전도 열차를 공중에 부양시키는 기술은 자기부상(maglev) 기술이라고도 하는데, 중력에 대항하기 위해 서로 반발하는 반대의 자기장을 생성하여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림

 

 -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개인용 호버보드에서 대용량 탄환까지 모든 크기의 운송 수단에 적용 가능

 

 - 향후 하이퍼루프(hyperloop, 자성튜브 내에서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식 포드)의 개발로 이어질 전망


○ 자기부상 이동수단의 발달로 인해 예상되는 사회적 변화

 

 - 자기부상 열차는 기존의 열차에 비해 환경적 영향(소음 및 공해)이 적음

 

 - 또한 이동시간을 비약적으로 단축할 수 있어 기존의 도시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음 

 

○ 인프라의 구축

 

 - EU는 TEN-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프로그램을 통해 철도 인프라에 대해 투자 

 

 - 자기부상 호버보드의 경우, 사람과 사물이 비교적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켜 도심 내 교통수단 또는 공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