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해외단신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근로자 역량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8-04-23
- 등록일 2018-05-28
- 권호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디지털 시대에 노동시장에서 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의 역량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Which skills for the digital era? Returns to skills analysis
○ 본 연구는 31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과 파트너 국가에서 수집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역량 수준과 이들이 받는 임금 간의 관계를 분석함
- 국제성인역량조사는 근로자들이 맡은 업무는 물론 이들의 인지적, 비인지적 역량을 평가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음
○ 분석 결과, 디지털 시대에는 자기조직역량과 고급수리력 등이 높은 가치를 지니는 역량으로 나타남
- 보고서는 인지적, 비인지적 역량을 ICT 관련 역량, 고급수리력, 관리 및 의사소통, 자기조직역량, 학습 준비도, 창조적인 문제 해결력 등으로 나누어 이들이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
- 디지털 집약적인 산업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기조직역량과 고급수리력을 갖춘 근로자가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이와 같은 역량은 관리 및 의사소통 등 다른 역량이 뒷받침될 경우 추가적인 임금 프리미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황에거 정부가 수리력, 인지적 역량은 물론 비인지적이고 사회-감성적인 역량의 발전에도 관심을 둘 것을 촉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