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광합성 기술의 현황과 미래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공학한림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15
  • 등록일 2018-06-11
  • 권호
○ Acatech에서 인공광합성 기술의 미래 활용 가능성과 연구개발 방향에 대해 제시
- 친환경 에너지 공급, 기후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이 화두
- 우리 시대의 과학적 사회적 문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가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거나 재활용하며 감축되거나 대체되어야 함
- 하나의 대안이 인공광합성이며 이는 태양에너지 만을 활용하여 화학에너지 물질과 유기물질을 생산
- 식물 광합성은 광합성후 CO2와 물 생산하지만 인공광합성은 수소, CO, 메탄, 메탄올, 암모니아 등 생산 가능
○ 기술적 방법
- 변형됨 생물학적 광합성 - 유전자 조작된 미생물이 연료와 재활용 물질 최적화하며 바이오매스 이용
- 생물학과 비생물학 방식 결합 -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수소, 일산화 탄소가 미생물과 결합
- Power to X: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수소, 에틸렌, 메탄, 알콜, 하이드로 카본 생산
- 인공광합성- 태양광과 촉매를 이용하여 연료 생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