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디지털 경제: AI와 로봇은 어떻게 우리의 근로와 삶을 바꾸는가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도이치방크 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14
  • 등록일 2018-06-11
  • 권호
○ 배경
- AI, 로봇 등의 기술로 인한 생산성과 수익의 증가량 만큼을 노동과 자본 사이에서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가 문제
- 이전의 기술혁명은 그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한 방식으로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 창출을 가져왔음. 그러나 인공지능과 로봇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낙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
- 주요 선진국들은 AI와 로봇을 바탕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저개발국가에서 외주 생산했던 것을 자국내로 리쇼어링(re-shore)할 수 있게 됨
○ AI와 로봇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
- AI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여 아무도 상상할 수 없는 위력을 가질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AI 전문가 집단에서조차 의견이 갈리고 있는 상황. 분명한 것은 AI 분야에서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광범위하고 강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점
- 하지만 AI와 로봇 기술이 주도하는 세상에서 인간이 어느 정도 통제권을 가지고 기술의 사용자로 남아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심도깊은 논의와 고려가 필요
○ 제안
- 디지털 혁명은 국경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지구적 행동이 필요함. 전 세계 모두가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 및 산업을 성공적으로 증진하는 것과 국가별 보호주의 및 지식전쟁(knowledge wars)의 위험을 피하는 것의 균형을 이루어야 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