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드론의 시대, 기술 및 정책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타임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5-31
  • 등록일 2018-06-25
  • 권호

 

○ 타임지(TIME)는 드론의 시대라는 특집호에서 기술 발전과 정책적 대응 현황을 살펴본 기사*를 보도

 

  * Drones Are Here to Stay. Get Used to It

 

 - 지난 '01년 아프가니스탄의 알카에다 지도자를 섬멸하기 위해 도입되기 시작한 무인기 기술은 이제 군사 작전에서 없어서는 안될 부분으로 성장

 

 - 상대적으로 민간 부문의 드론 활용은 느린편이었으나, 17년 한 해에만 300만 대의 드론이 판매되고 미국에서만 100만 대 이상이 등록되는 등 대중에 크게 보급 

 

○ 드론에 GPS, 와이파이, 충돌방지센서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면서, 보다 다양한 산업과 공공 부문에 활용되고 있음

 

 - 드론은 농부들의 작물의 성장 과정 모니터링에서 환경 연구자의 오염도 측정, 헐리우드 스튜디오에서 촬영용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 캘리포니아에서는 전체 인명 구조자 중 65%가 드론에 의한 것이었으며, 아마존이 드론을 이용한 배송을 추진하고 페이스북이 드론을 이용한 인터넷 보급에 나서는 등 대형 기술 기업에서도 드론을 적극적으로 도입 

 

○ 반면 드론을 통한 개인 사생활 침해와 드론을 통한 마약 밀수, 테러리스트의 악용 등을 우려하는 사람들 또한 적지 않으며, 이에 대응해 미국 정부도 규제 방안을 마련 중

 

 - 연방항공청(FAA)은 '16년 드론의 상업적 활용 과정을 간소화하여 드론의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는 것에 기여

 

 - 교통부(DOT)는 드론 제조기업들과 협력해 안전과 혁신 사이의 균형점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우주항공국(NASA)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항공 공간에 안전하게 드론을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 중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