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 기술의 장기 성장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6-12
  • 등록일 2018-07-09
  • 권호

 

○ 독일 기업들의 인공지능 도입 현황

 

 - 2018년 독일 기업의 5%가량이 인공지능(AI)을 경영에 도입하였고, 이는 2017년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한 수치

 

 - 곧 2% 가량의 기업들이 추가적으로 인공지능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됨

 

 - 기업의 16%는 인공지능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31%는 28년까지 인공지능 솔루션이 구현될 것으로 기대

 

 - 인공지능을 실제로 기업운영에 사용하고 있거나, 도입을 계획하고 있거나, 시범적으로 사용해보았거나 최소한 중요한 기술로 고려한 기업들의 총 비율은 25% 

 

○ 인공지능(AI)의 영향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

 

 - 인공지능에 익숙한 기업들은 실제로 인공지능의 성능과 그것이 가져올 혜택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음

 

 - 인공지능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75%의 기업들은 대체로 5~10년 내로 인공지능이 자사의 경쟁력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비관적인 의견은 4%이내였으며 22% 가량은 불확실하다고 응답

 

 - 근무환경의 유연성(flexibility at the workplace)과 제품의 질 측면에서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효과 예상

 

 - 반면, 인공지능에 익숙한 기업의 60% 이상은 데이터 보안 문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으며, 약 50% 가량의 기업은 적절한 자격을 갖춘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인공지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것으로 봄 

 

○ 인공지능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뉨

 

 - 41%의 기업은 인공지능으로 인해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 보았지만, 35%는 고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

 

 - 대체로 인공지능이 기업들에 가져올 긍정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만, 고용 등 불확실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