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경제위기 이후의 필립스 곡선에서 누적임금격차 개념의 사용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6-15
  • 등록일 2018-07-09
  • 권호

 

○ 누적임금격차 개념을 사용한 새로운 임금-인플레이션 모델

 

 - 본 연구에서는 임금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

 

 - 누적임금격차(cumulated wage gap)란, 과거의 임금 최대치와 현재 임금 사이의 누적된 격차를 의미

 

 -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은 미래의 소득이 불확실하다는 점에서 경제위기 시에는 근본적으로 해당되지 않음. 따라서 경제위기에서는 기준을 기대소득이 아니라 과거 소득으로 설명 필요

 

 -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의 수익보다는 가장 가까운 과거의 가장 높은 소득을 기준으로 소비를 결정하게 될 것 

 

○ 수정된 필립스곡선의 적용

 

 - 경제위기 이후(post-crisis)의 필립스 곡선에서 명목 임금 대신 누적임금격차를 사용

 

 - 모든 OECD 국가들에 대해 해당 이론적 모델을 시험하여 누적임금격차가 인플레이션에 대해 강력한 설명력을 가짐을 확인

 

 - 누적 임금 격차가 좁혀지기 전까지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에 근접하거나 그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 점을 발견 

 

○ 정책적 함의

 

 - 누적임금격차가 줄어든 국가들에서는 임금 상승에 훨씬 더 신중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

 

 - 반면, 누적임금격차가 해소되지 않은 국가들에서는 이것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인플레이션이 억제될 수 있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