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제조 자격증의 품질, 가치, 효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8-07-25
  • 등록일 2018-08-27
  • 권호

 

○ 미국국가표준협회(ANSI) 산하 Workcred는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제조업확대파트너십(MEP) 프로그램과의 협동 연구를 통해 제조 자격증의 품질과 시장 가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발표함

 

 - 미국의 제조업은 산출물과 생산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역량 불일치로 인해 적절한 근로자를 찾기가 점차 어려워짐

 

 - 기존 연구에 따르면 향후 10년 동안 350만 명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되는 반면, 200만 명의 일자리는 역량 불일치로 인해 충족되지 못한 것으로 전망됨

 

 -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역량 불일치를 해소하고 역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자격증 제도의 역할이 점차 중요 

 

○ 본 보고서는 제조업확대파트너십(MEP) 네트워크 센터 고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주요 자격증 및 자격증 제공자에 대한 조사 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밝혀냄

 

 - 자격증의 활용은 산업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고용, 승진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음

 

 - 많은 기업들은 어떤 자격증이 존재하고 자신들의 업무와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 충분히 알지 못하며, 새로운 사람을 고용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음

 

 - 상대적으로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자격증을 보다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음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불일치를 줄이고 산업들이 적절한 역량을 갖추는 것을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

 

 - 자격증 제도의 내용, 활용법, 가치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킬 것 / 자격증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표준을 보다 많이 활용할 것 / 고용주, 교육 및 훈련 기관, 자격증 부여 기관 간의 관계를 강화할 것 / 기존의 자격증이나 새로운 자격증에 취직 능력 관련 부문을 신설할 것 / 성과에 초점을 둔 자격증을 신설하고 새로운 역할에 대응할 것/ 어프랜티스의 수와 제공 직업군을 확대할 것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