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13-2022 행성 과학 비전 중간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8-08-07
  • 등록일 2018-08-27
  • 권호

 

○ 국립학술원은 2013-2022 행성 과학 비전에 따른 항공우주국(NASA)의 성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Visions into Voyages for Planetary Sciences in the Decade 2013-2022: A Midterm Review

 

 -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2011년 3월 앞으로 10년 동안의 주요 행성 탐사 계획을 담은 2013 -2022행성 과학 비전을 발표 ** Visions into Voyages for Planetary Sciences in the Decade 2013-2022

 

 - 2013-2022 행성 과학 비전은 목성 탐사선인 유로파 클리퍼 (Europa Clipper)와 화성 탐사선인 화성 2020 로버(Mars 2020 Rover) 등 주요 미션과 중간 규모 미션 간의 균형잡힌 추진을 권고하고, 재원 부족 시 대응 방안을 포함 

 

○ 본 보고서는 전체적으로 항공우주국이 2013-2022 행성 과학 비전의 목표를 달성하였거나 초과하였다고 평가함

 

 - 상당한 예산 삭감에도 불구하고 항공우주국(NASA)은 뉴프런티어(New Frontiers)와 디스커버리(Discovery) 프로그램을 연기하는 대신 연구 및 분석(R&A)과 기술 부문의 예산을 확보해 주요 미션을 차질없이 추진하였음 

 

○ 국립학술원은 항공우주국이 2013-2022 행성 과학 비전의 남은 기간에 행성 탐사 미션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2023 -32 행성 과학 비전을 준비하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

 

 -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 프로젝트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비용 범위 내에서 프로그램을 추진 필요

 

 - 화성 2020 프로젝트에서 회수된 샘플을 통해 성과계획을 수립하고 집중적이고 신속한 분석 구조를 구축할 것

 

 - 현재 화성 2020 로버(Mars 2020 Rover) 미션만 존재하는 화성 탐사 프로그램을 재평가할 것

 

 - 행성 과학 부처의 예산 중 6~8%를 기술 부문에 대한 투자액으로 계속 배정할 것

 

 - 과학적 컨텐츠를 가지는 주요 미션과 교육 및 홍보 활동을 긴밀하게 연결할 것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