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자폐증 어린이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로봇 훈련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8-23
  • 등록일 2018-10-01
  • 권호

 

○ 자폐증 어린이 치료에 활용되는 로봇

 

 - 자폐증(autism)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하는 데에 어려움. 자폐 스펙트럼 조건(ASC: autism spectrum condition)을 가진 어린들에게 의사소통 위주의 활동은 어렵고, 치료사 역시 교육 치료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됨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들의 치료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나, 자폐적 특성을 가진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비정형적이고 각기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 기존 형태의 로봇이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음 

 

○ EngageME 프로젝트 개요

 

 - EngageME 프로젝트의 연구진은 자폐증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로봇에 개인맞춤형 기계학습 프레임워크를 도입

 

 -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로봇은 자폐증 어린이의 얼굴, 목소리, 몸짓 등의 감정을 감지하여 어린이의 참여를 이끌어 냄

 

 - 연구진은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행동 평가 점수 혹은 그 아동 고유의 특성 등을 활용하여 각 어린이들을 개인 맞춤형으로 설정하고, 로봇은 아이들의 반응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자동적으로 적응하도록 설계됨 

 

○ EngageME 프로젝트 연구내용

 

 - 연구진은 일본과 세르비아 출신의 35명의 어린들에 대한 모델을 테스트. 3세에서 13세 사이의 어린이는 35분 동안 로봇과 상호작용을 함

 

 - 그 과정에서 로봇은 어린이의 얼굴 표정, 움직임, 머리 자세, 음성 등을 기록하고, 손목에 있는 측정기에서는 체온, 심박수, 피부 땀 반응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