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URA의 질보증에 기여하는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논점정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9-25
  • 등록일 2018-10-30
  • 권호
○ 문부과학성은 URA(University Research Administrator)의 질 보증(인증제도)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검토회를 설치하고 지금까지 7회에 걸쳐 질 보증의 의의 및 인증제도의 방향성(개념, 계획 등)에 대해 검토해 왔으며 금번 검토회 논의결과를 정리한 보고서 공표
- (현황 및 과제) URA는 '11년 이후 문부과학성 정비사업 등에 따라 각 대학 등에 배치되어 ('17.3월 현재 전국 대학 등 102개 기관에 916명 배치) 연구 프로젝트의 기획 및 매니지먼트, 관련 연구자금 조달 및 관리, 연구성과 활용 추진 등을 담당. 이를 통해 학술연구 및 이노베이션의 원천이 되는 지식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나, 업무 수행능력의 개인차, 적절한 채용 및 배치 문제, 전문적 연수 기회 부족. 이에 따라 인재육성 관련 노력의 대학간 불균형, 계약직으로 불안정한 고용형태 등 과제도 다수 존재
- (인증제도의 의의) URA에게 기대되는 실무능력을 표준화하여 대학 등에 최적 배치, 연구환경 정비 및 산학협력 추진 등에 기여
- (인증제도 도입 관련 주요 논점) 실무능력 보증(기준적합성),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탁월한 실무능력 보증(탁월성), 소속기관에 의한 평가(1단계: 내부평가) 및 전문적 인증기관의 인증(2단계:외부평가)으로 구성, 대상자(신청자)는 원칙적으로 현직 URA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