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통합이노베이션 전략에서의 오픈사이언스-연구데이터의 전략적 개방을 통한 '지의 원천'을 뒷받침하는 기반구축을 목표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8-09-25
  • 등록일 2018-10-30
  • 권호
○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는 STI Horizon 가을호에 「통합이노베이션 전략에서의 오픈사이언스 - 연구데이터의 전략적 개방을 통한 '지의 원천'을 뒷받침하는 기반구축을 목표로 -」 게재
- 연구데이터를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오픈 사이언스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도 '17년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에서 오픈 사이언스가 정책토의 대상이 됨
- '18.6월 각료회의에서 결정된 통합이노베이션 전략에서는 과학기술뿐 아니라 사회로의 파급을 염두에 두고 오픈 사이언스는 「지의 원천」 구축의 기반이 된다고 규정
- 오픈 사이언스를 위한 정책으로는 연구개발법인 및 연구조성단체의 연구 데이터 방침 수립, 연구 데이터 기반 구축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분야 및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연구 데이터의 전략적 개방이 오픈화 전략의 본질이 된다고 할 수 있음.
- 구체적으로 각 분야에 따라 산업계, 지식재산과의 관련성 정도, 연구 관련 관계자의 다양성 또는 균일성 등에 따라 공개하기 쉬운 분야(천문 등), 공개하면서 산업화를 의식해야 하는 분야(재해 방지),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공개해야 하는 분야 등을 구분한 그래프를 제시하고, 각 분야를 고려한 전략적 개방이 필요하다고 언급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