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국가발전개혁위원회, 향후 5년1,000억 위안을 투입해 디지털 경제 발전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경제참고보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8-09-20
- 등록일 2018-10-30
- 권호
○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국가개발은행과 디지털경제 발전을 지원하는 협력협정을 체결하고, 향후 5년 내 1,000억 위안을 투입해 디지털경제 발전을 지원할 계획 (9.19)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신형 스마트시티 등 분야 건설을 지원하고, 디지털경제 분야 일부 중점프로젝트를 우선 육성 및 지원
- 디지털경제와 디지털 실크로드 구축을 지원
○ 최근 아리연구원과 KPMG 등 기관은 <2018년 세계 디지털경제 발전지수 보고서>를 발표
- 중국은 2018년 세계 디지털경제 발전지수의 2위로, 미국의 버금가는 수준
- 그 중 중국은 디지털소비자지수부문 순위가 세계 1위
- 2017년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규모는 7억 7,200만 명
- 미국에서 전자상거래 사용자 보급률 50% 달성에 14년간 소요, 중국은 9년에 불과
- 공업경제는 변화속도가 완만하고, 기업규모가 방대해질수록 혁신동력을 상실하기 용이하지만, 디지털경제는 기술갱신 속도가 공업경제 시대를 훨씬 초월
- 현재 세계 최대 시장가치 10개 기업 가운데 7개는 디지털경제회사이고, 맨 마지막에 설립된 회사의 설립기간은 20년 미만임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신형 스마트시티 등 분야 건설을 지원하고, 디지털경제 분야 일부 중점프로젝트를 우선 육성 및 지원
- 디지털경제와 디지털 실크로드 구축을 지원
○ 최근 아리연구원과 KPMG 등 기관은 <2018년 세계 디지털경제 발전지수 보고서>를 발표
- 중국은 2018년 세계 디지털경제 발전지수의 2위로, 미국의 버금가는 수준
- 그 중 중국은 디지털소비자지수부문 순위가 세계 1위
- 2017년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규모는 7억 7,200만 명
- 미국에서 전자상거래 사용자 보급률 50% 달성에 14년간 소요, 중국은 9년에 불과
- 공업경제는 변화속도가 완만하고, 기업규모가 방대해질수록 혁신동력을 상실하기 용이하지만, 디지털경제는 기술갱신 속도가 공업경제 시대를 훨씬 초월
- 현재 세계 최대 시장가치 10개 기업 가운데 7개는 디지털경제회사이고, 맨 마지막에 설립된 회사의 설립기간은 20년 미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