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4-10-15
  • 등록일 2024-10-25
  • 권호 274
○ 일본경제단체연합회는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의 구축을 위한 과제 및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의 의의, 민관에 필요한 대응 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데이터 스페이스란 서로 다른 국가 및 업종, 조직간에 신뢰할 수 있는 대량의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하는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데이터의 공개범위 및 용도를 데이터 제공자가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주권을 전제로 데이터의 진정성을 증명하는 신뢰기반 하에 구축
- 즉, 합의된 정책, 규칙과 표준에 기반하며, 주권이 확보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개방형 연합 데이터 인프라를 의미
○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을 위한 과제
- 일본에서도 '우라노스 생태계'를 비롯하여 민관 협력을 통한 데이터 연계기반 구축 및 활용사례 확대가 어느 정도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공적 트러스트 기반 정비는 아직 검토 중
- EU의 데이터 스페이스와의 상호 운용성을 갖춘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는 아직 정비되지 않아 일본 기업은 트러스트를 일본 국내에서 증명하지 못하고, 해외 데이터 공간의 트러스트 기반을 이용할 수밖에 없어 국경을 초월한 데이터 연계 및 활용에 지장이 있어, 일본의 산업 경쟁력에 심각한 영향이 발생
○ 민관에 필요한 대응
- 디지털청이 리더십을 발휘하고 경제산업성과 연계하여 전략 및 일정 제시
- 디지털청은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의 신뢰성 및 상호운용성의 대전제인 트러스트 기반 구축을 위한 환경 정비를 체계적으로 추진
-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을 목표로 기존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을 민관에서 가속화・확충
- 정부는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의 초기단계에 투입되는 예산을 확충하고, 관리 및 운용에 드는 비용은 산업계가 부담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